본문 바로가기

온실가스전문가과정4

[온실가스 관리 전문 인력 양성 과정] 공부 리소스7-(1) : 온실가스 인벤토리 개요 인벤토리란 무엇인가? 기후위기 대응은 결국 배출을 '줄이는' 일이지만, 그 전에 먼저 '기록'하는 일이 필요하다.이번 시간은 바로 그 기록의 방식, '온실가스 인벤토리(GHG Inventory)'에 대해 배운 수업이었다. 인벤토리는 국가, 지자체, 기업 등 다양한 주체의 활동에서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 및 흡수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목록화한 데이터 체계를 말한다.이 데이터는 단순한 숫자에 그치는게 아니라, 감축정책의 기반이자 국제 보고의 출발점이 된다. 1. 인벤토리의 구성과 목적(1) 온실가스 인벤토리가 구축되는 과정 1) 배출원 및 흡수원 파악 2) 활동자료 수집 및 배출계수 적용 3) 배출량 산정 4) 인벤토리 목록화 및 보고(2) 인벤토리 구성의 목적- 감축 정책 수립의.. 2025. 5. 8.
[온실가스 관리 전문 인력 양성 과정] 공부 리소스6-(2) : 온실가스목표관리제의 이해 왜 목표관리제일까? 기후위기 시대, 온실가스를 감축한다는 말은 이제 너무 익숙하다.하지만 실질적으로 '어디서', '얼마나', '어떻게' 줄일지를 제도적으로 설계한 방식은 많지 않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온실가스 목표관리제(TMS; Target Management System)'이다. 이 제도는 국가 감축목표(NDC)를 달성하기 위해 다배출 업체에서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행을 관리하는 제도이다. 1. 목표관리제의 도입 배경- 2009: 녹색성장 국가전략 수립- 2011: 목표관리제 도입(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기반)- 2022: 탄소중립기본법으로 법적 근거 이관 한국은 배출량이 많았기때문에 제도적인 관리를 일찍 도입할 수 밖에 없었다.감축을 실천하는 국가라면, 제도부터 달라야 한다. .. 2025. 5. 7.
[온실가스 관리 전문 인력 양성 과정] 공부 리소스5-(2) : 배출권거래제 개요 감축은 목표가 아니라, 설계이다. 온실가스 감축은 단순히 선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국가마다 기업마다 구조와 동력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만들어진제도가 바로 배출권거래제(ETS)이다.이번 수업은 ETS의 기본 원리부터 국내 제도 구조, 그리고 기업 단위의 실제 적용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주는 시간이었다. 1. 배출권거래제란 무엇인가?배출권거래제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있는 기업에게 일정량의 배출허용량을 할당하고, 이 양을 초과하거나 남았을 경우 시장에서 거래를 허용하는 제도이다.- 온실가스 다배출업체가 감축 여력이 부족할 경우, 다른 업체로부터 여유 배출권을 구매해 감축의무를 이행할 수 있음- 반대로 감축에 성공한 업체는 잉여 배출권을 판매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음=> 감축의 효율성과 유연성을 높이.. 2025. 5. 5.
[온실가스 관리 전문 인력 양성 과정] 공부 리소스4-(1) 적응정책 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취약성 개요 및 이해 우리는 기후변화가 '불특정 다수에게 평등하게 닥치는 재난'이 아님을 이미 알고있다. 어떤 지역은 더 빨리, 더 크게 위험을 겪고 어떤 계층은 더 적은 자원으로 버텨야한다.그래서 필요한 것이 취약성평가다. 단순한 피해가 아니라 왜 이 지역에서 왜 이만큼의 피해가 났는가를 이해하는 시도. 1. 기후변화에 의한 피해는 왜 지역마다 다를까?(1) 기후요인(Hazard): 폭염, 한파, 폭우, 해수면 상승 등 변화 그 자체(2) 노출성(Exposure):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이나 인프라의 존재(e.g. 저지대 주거지, 오래된 도심, 하천 인근 지역 등)(3) 민감도(Sensitivity): 인구 구성, 도시계획, 지역의 경제구조 등 피해의 강도를 결정하는 요소(4) 적응능력(Adaptive Capacit.. 2025.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