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적응2

[온실가스 관리 전문 인력 양성 과정] 공부 리소스7-(2) : 국내 기후변화 대응 정책 기후변화는 이미 일어난 일이다.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완화(Mitigation)가 미래를 위한 노력이라면, 기후변화 적응(Adaptation)은 이미 벌어진 변화에 대한 대답이다.이번 강의는 바로 그 현실대응의 전략을 다루었다.IPCC 1.5도 특별보고서에서도 강조했듯, 2050년 탄소중립이라는 목표와 함께 기후위기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구축하는 적응 전략은 필수적이다. 1. 국내 기후적응 정책의 발전 흐름- 2009년: 녹색성장 국가전략 수립- 2015~2021년: 감축목표 설정 및 제도 구축- 2021년: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법] 제정- 2022년 이후: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출범, 기후영향평가 의무화 확대 한국의 기후대응 정책은 이제 감축과 적응이 함께가는 이중트랙 시대에 들어섰다. 2. 기후.. 2025. 5. 9.
[온실가스 관리 전문 인력 양성 과정] 공부 리소스3-(1) : 기후변화의 증거와 원인, 기후변화의 영향 3일차 수업의 1교시에서는 기후변화의 과학적 증거, 원인, 그리고 영향과 적응 전략에 대해숙명여자대학교의 유승직 교수님께 강의를 들었다. 그동안 기후위기를 '느낌'으로만 받아들였다면, 이번 수업은 구체적인 데이터와 수치를 통해 '현실'로 이해하게 된 전환점이었다. 이 글은 오늘 수업의 핵심을 요약하고, 주인장의 시선에서 다시 정리한 기록이다. 1. IPCC와 기후변화 보고의 구조- IPCC는 유엔 산하의 정부간 협의체로, 전 세계 과학자들의 연구를 집대성해 정책결정자들을 위한 보고서(SPM)를 작성한다.- 각 Working Group(WG)의 역할:(1) WG1: 과학적 근거(2) WG2: 영향과 적응(3) WG3: 감축 전략 또, 한국의 이회성 박사가 의장을 맡았던 시기 또한 있기도했다.IPCC는 새.. 2025.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