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관리 전문 인력 양성 과정] 공부 리소스3-(3) 기후변화 대응 방안
3일차 교육의 마지막 교시는 '현장'이었다. 국립환경과학원의 임재현 박사님 강의를 통해 이것을 배웠다. 기후변화가 단지 과학적 현상이 아닌, 정책과 제도, 기술과 삶의 실천이 동시에 맞물려야 하는 복합시스템이라는 것을 이보다 더 잘 보여줄 수 있을까 싶을 만큼 밀도 높은 내용이었다. 1. 기후위기의 본질 - 온실가스, 에너지, 그리고 우리 삶기후변화는 지구온난화에서 비롯되며, 그 근본 원인은 화석연료 연소에서 나온다. 현재 전 세계 에너지의 80%이상이 화석연료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한다.인간활동(인구 증가, GDP 증가, 산림파괴)은 온실가스를 대기 중에 축적시키며, 한 번 배출된 온실가스는 수백~수천 년 머물며 지구를 변화시킨다. 즉, 기후위기는 일회성 이슈가 아니라, 축적된 선택의 결과로 나타..
2025. 5. 1.
[기후진로 시리즈 1.] 기후변화 대응 직업 5가지, 나는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기후위기라는 말은 익숙하지만, 이 거대한 문제 속에서 '나는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은 여전히 어렵다.기후변화를 막기 위해서는 정책, 데이터, 기술, 인증, 교육 등 수많은 분야의 사람들이 함께 협력하여 움직여야한다. 이 글은 기후변화 대응에 참여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진로들을 소개하고, 각 분야의 역할과 필요한 역량을 정리해보는 글이다. 현재 온실가스 전문인력 양성과정을 수강하고 있는 나에게도 '기후라는 고차방정식을 내가 어떤 방식으로 풀어갈 수 있을까'를 고민해보는 작은 이정표가 될 수 있을거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1. 기후 데이터 분석가1) 하는 일- 기후관련 데이터를 수집, 분석, 시각화하여 인사이트 도출- 탄소배출량 추이, 재생에너지 비중 변화, 이상기후 패턴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
2025. 4. 27.
[환경 자격증 추천] 기후위기 시대, 대학생이 도전할 수 있는 환경 관련 자격증 12선
기후위기라는 단어가 더는 낯설지 않은 요즘, '무엇을 공부하고 어떻게 준비해야할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자주 던지게 된다. 그 중에서도 구체적인 방향을 잡기위한 실마리로 '자격증'이라는 키워드는 많은 이들에게 실질적인 동기를 제공한다. 이 글에서는 대학생도 도전할 수 있으면서 특히 온실가스, 기후변화, 지속가능성 등 환경 관련 분야에 적합한 국내외 자격증들을 정리해보았다. 자격증이 꼭 '정답'은 아니지만, 커리어를 준비하는 여정에서 하나의 단단한 발판이 되어줄 수 있다. 1. 온실가스관리 기사/산업기사(국가공인)- 주관: 한국환경공단/한국산업인력공단- 대상: 환경 관련 학과 대학생 혹은 관련 경력자- 내용: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배출권 거래제, 보고 체계, 검증- 포인트: 기후변화 정책, ESG,..
2025.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