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데이터 분석 실습3 [기후데이터를 읽는다는 것] 기후데이터 분석 시리즈 구성안: 시리즈를 준비하며.. 기후변화는 이제 숫자와 그래프로도 이야기되는 시대이다. 내가 꿈꾸는 저탄소 사회를 향한 계획은 결국, 데이터를 어떻게 읽고 해석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이 카테로기에서는 '기후데이터분석실습'을 시리즈형태로 연재해보고자한다. 기후데이터를 다루는 첫 걸음이자, 동시에 기후문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분석시리즈를 준비하며 내가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며 가장 어려웠던 건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몰랐다'는 점이다.기후데이터는 한눈에 보기에도 방대하고 수집경로도 다양하며 무엇보다 그 안의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면 숫자는 의미를 잃는다. 그래서 앞으로 시리즈물에서는 다음과 같은 분석 흐르을 기준 삼아 구성하고자 한다. 기후데이터분석 시리즈 구성안1. 문제 정의 - 무엇을 알고싶은가?.. 2025. 4. 16. 데이터 너머의 기후 이야기 #2: 데이터는 어디에 있을까?(국내편) 기후위기는 어느 한 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다. 그러한 관점에서 이전 글에서는 글로벌한 분야에서의 기후 데이터를 찾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2025.04.09 - [기후데이터 분석 실습] - #1 데이터 너머의 기후 이야기: 데이터는 어디에 있을까?(글로벌편) #1 데이터 너머의 기후 이야기: 데이터는 어디에 있을까?(글로벌편)기후위기라는 단어를 처음 들었을 때, 나는 그게 얼마나 '실체있는 일'인지 감이 오지 않았다.언론과 내가 들은 환경교육에서는 매일같이 심각성을 강조하지만, 정작 나는 그 현실을 '체감'하지minhappy-earth-lab.tistory.com 그러나 그 문제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내가 사는 나라의 기후 현실'을 먼저 직시하는 일이 꼭 필요하다. 국내 기후와 에너지 데.. 2025. 4. 11. 데이터 너머의 기후 이야기 #1: 데이터는 어디에 있을까?(글로벌편) 기후위기라는 단어를 처음 들었을 때, 나는 그게 얼마나 '실체있는 일'인지 감이 오지 않았다.언론과 내가 들은 환경교육에서는 매일같이 심각성을 강조하지만, 정작 나는 그 현실을 '체감'하지 못하였다. 처음의 나는 기후변화부정론자들의 의견에 일부 동의했다. 통계학을 전공하는 나는, 통계가 얼마나 가변적이고 해석하는 이에 따라 어떠한 주장의 근거도 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RAW DATA가 아닌 수치들을 보고는 전적으로 믿을 수 없었다. 그래서 생각했다. '내가 직접 찾아봐야겠다.' 그때부터 나는 환경 관련 데이터를 찾아왔고 때로는 흩어진 자료 속에서 길을 잃기도 했다.하지만 점점 느꼈다.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숫자가 여러 주장을 갖는다면 그건 해석하는 사람들의 의도가 숨어있는 것이다. 이 .. 2025. 4.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