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정책3

[온실가스 관리 전문 인력 양성 과정] 공부 리소스6-(2) : 온실가스목표관리제의 이해 왜 목표관리제일까? 기후위기 시대, 온실가스를 감축한다는 말은 이제 너무 익숙하다.하지만 실질적으로 '어디서', '얼마나', '어떻게' 줄일지를 제도적으로 설계한 방식은 많지 않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온실가스 목표관리제(TMS; Target Management System)'이다. 이 제도는 국가 감축목표(NDC)를 달성하기 위해 다배출 업체에서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행을 관리하는 제도이다. 1. 목표관리제의 도입 배경- 2009: 녹색성장 국가전략 수립- 2011: 목표관리제 도입(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기반)- 2022: 탄소중립기본법으로 법적 근거 이관 한국은 배출량이 많았기때문에 제도적인 관리를 일찍 도입할 수 밖에 없었다.감축을 실천하는 국가라면, 제도부터 달라야 한다. .. 2025. 5. 7.
[기후진로 시리즈 1.] 기후변화 대응 직업 5가지, 나는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기후위기라는 말은 익숙하지만, 이 거대한 문제 속에서 '나는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은 여전히 어렵다.기후변화를 막기 위해서는 정책, 데이터, 기술, 인증, 교육 등 수많은 분야의 사람들이 함께 협력하여 움직여야한다. 이 글은 기후변화 대응에 참여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진로들을 소개하고, 각 분야의 역할과 필요한 역량을 정리해보는 글이다. 현재 온실가스 전문인력 양성과정을 수강하고 있는 나에게도 '기후라는 고차방정식을 내가 어떤 방식으로 풀어갈 수 있을까'를 고민해보는 작은 이정표가 될 수 있을거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1. 기후 데이터 분석가1) 하는 일- 기후관련 데이터를 수집, 분석, 시각화하여 인사이트 도출- 탄소배출량 추이, 재생에너지 비중 변화, 이상기후 패턴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 2025. 4. 27.
[온실가스 관리 전문 인력 양성 과정] 공부 리소스2-(1) : 온실가스 인벤토리 MRV 오늘은 수업 2일차이다.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신뢰 가능하게 만드는 방법론'에 대한 이야기였다. '얼마나 줄였는가?'가 아닌, '정확히 얼마를 배출했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진 시간이었다.그 신뢰 구조인 MRV에 대해 이론적인 내용을 배울 수 있었다. 1. 개요: 왜 MRV가 필요한가? 어디서 얼마나 나오는가? 온실가스는 지구 복사열을 가두어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기체이다. 우리가 주로 관리하는 6대 온실가스( CO₂, CH₄, N₂O, HFCs, PFCs, SF₆ )외에도, 곧 NF₃가 포함될 예정이다. 이들은 에너지 연소, 산업 공정, 폐기물 처리, 농축산업 등에서 배출되며 우리나라는 이산화탄소 환산단위 (-eq) 로 통합하여 관리한다. * 참고: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GIR)에는 2022년도 국가 배출량.. 2025.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