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리협정2

[온실가스 관리 전문 인력 양성 과정] 공부리소스3-(2) : 국제기후협상 및 신기후체제 이번 3일차 두번째 수업은 기후변화 대응의 국제 무대, 그 최전선인 '기후협상'에 관한 이야기였다. 단순히 회의가 열린다는 사실이 아니라, 그 회의 속에 담긴 역학, 정치, 책임, 형평, 희망의 서사를 이해하는 시간이었다.강의는 국회기후변화포럼 연구위원이셨던 이정환박사님께서 맡아주셨고,파리협정의 구조부터 최근 COP28 협상까지 심도있게 다루어졌다. 1. 기후협상의 시작, UNFCCC- 1992년 기후변화협약(UNFCCC) 체결 -> 선진국과 개도국의 책임차별화(CBDR 원칙) 명시- 이후 교토의정서(1997), 파리협정(2015), 글래스고 협약(2021) 등 단계별로 진화* 주요 흐름 - 교토의정서: '선진국'의 감축 의무 - 파리협정: '모든 국가'가 감축 부담을 공유하는 상향식 자.. 2025. 4. 30.
[온실가스 관리 전문 인력 양성 과정] 공부 리소스1 : 온실가스 배출원 및 배출 특성 온실가스 관리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의 첫번째 시간에는 온실가스 배출원 및 배출 특성에 관한 내용을 공부했다.이번 시간은 세종대학교의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책임교수님이신 전의찬 교수님께서 강의해주셨다.교수님께서는 국내외 에너지 시스템과 온실가스 배출특성, 그리고 감축 전략에 이르기까지 오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풍부한 사례와 통찰을 공유해주셨다. 오늘의 강의는 기후 데이터를 다루고자 하는 나에게도 큰 자극이 되었다. 1. 강연자 소개https://home.sejong.ac.kr/~ecjeon/ 세종대학교-전의찬- 온실가스 및 에너지원 특성 분석 관련 연구-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 국가/지자체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 및 모델 분석- 국제 기후변화 정책 분석-home.sejong.ac.. 2025.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