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관리 전문 인력 양성 과정] 공부 리소스5-(1): 탄소금융 및 국제탄소시장
탄소중립, 감축 기술, 재생에너지 같은 단어들은 익숙해졌지만, '기후금융'은 아직은 낯선 영역이다. 그러나 우리가 추구하는 탄소중립사회로의 이행에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며, 이는 단순한 환경문제를 넘어 금융의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한다. 이번 수업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자금 흐름, 그 중심에 있는 '기후금융', '탄소금융', '녹색금융'에 대해 다뤘다. 1. 녹색금융의 개념과 등장 배경 녹색금융이란 단순히 친환경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자금이라고 보기에는 그 범위가 매우 넓다.국내에서는 [탄소중립기본법]을 통해 법적으로도 정의되어 있으며,재생에너지, 수소, CCUS, ESG 경영을 실현하는 산업 등에 투자하는 모든 금융활동이 이에 포함된다. UNEPFI는 녹색금융을 '저탄소 녹색성장을 지원하는 금융'으..
2025. 5. 4.
[온실가스 관리 전문 인력 양성 과정] 공부리소스3-(2) : 국제기후협상 및 신기후체제
이번 3일차 두번째 수업은 기후변화 대응의 국제 무대, 그 최전선인 '기후협상'에 관한 이야기였다. 단순히 회의가 열린다는 사실이 아니라, 그 회의 속에 담긴 역학, 정치, 책임, 형평, 희망의 서사를 이해하는 시간이었다.강의는 국회기후변화포럼 연구위원이셨던 이정환박사님께서 맡아주셨고,파리협정의 구조부터 최근 COP28 협상까지 심도있게 다루어졌다. 1. 기후협상의 시작, UNFCCC- 1992년 기후변화협약(UNFCCC) 체결 -> 선진국과 개도국의 책임차별화(CBDR 원칙) 명시- 이후 교토의정서(1997), 파리협정(2015), 글래스고 협약(2021) 등 단계별로 진화* 주요 흐름 - 교토의정서: '선진국'의 감축 의무 - 파리협정: '모든 국가'가 감축 부담을 공유하는 상향식 자..
2025. 4. 30.